IFA 유니버스 위키
IFA 유니버스 위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JFA
별칭사무라이 블루
연맹일본축구협회
감독모리야스 하지메
주장요시다 마야
홈 구장도쿄 신국립 경기장
IFA 코드JPN
Kit left arm jpn20h
Kit left arm
Kit body jpn20h
Kit body
Kit right arm jpn20h
Kit right arm
Kit shorts jpn20h
Kit shorts
Kit socks jpn20h
Kit socks long


Kit left arm jpn20a
Kit left arm
Kit body jpn20a
Kit body
Kit right arm jpn20a
Kit right arm
Kit shorts jpn20a
Kit shorts
Kit socks jpn20a
Kit socks long


원정
IFA 랭킹
현재28위 (2020년 9월)
최고 순위9위 (1998년 2월-3월)
최저 순위62위 (2000년 2월)
첫 국제 경기 출전
일본 일본 0 - 5 틀:나라자료 중화타이베이 틀:나라자료 중화타이베이
(일본 도쿄; 1917년 5월 9일)
최다 점수차 승리
일본 일본 15 - 0 필리핀 필리핀
(일본 도쿄; 1967년 9월 27일)
최다 점수차 패배
일본 일본 2 - 15 필리핀 필리핀
(일본 도쿄; 1917년 8월 10일)
월드컵
출전 횟수6회 (199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16강 (2002년, 2010년, 2018년)
아시아컵
출전 횟수9회 (198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4회 (1995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준우승 (2001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일본축구협회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사무라이 블루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 아시아 축구 강호로 불리는 팀들 중 하나로 대한민국과는 라이벌 관계에 있으나 정작 대한민국과의 역대 A매치 전적에서 상당히 밀려있다. 1917년 5월 9일 대만과의 경기에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뤘으며 현재 도쿄 신국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

IFA 월드컵[]

1998 IFA 월드컵 이전[]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까지 월드컵 본선의 문을 계속 두드렸지만 번번이 예선에서 탈락의 쓰디쓴 잔을 마셨고 특히 1994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는 9승 3무 1패의 높은 승률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와의 최종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2-1로 앞선 후반 막판 상대팀인 자파르 옴란에 통한의 동점골을 얻어맞으며 같은 시각 북한을 3-0으로 이긴 대한민국에게 본선 티켓을 빼앗겼다. 이를 두고 대한민국에서는 도하의 기적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도하의 비극으로 불리고 있다.

1998 IFA 월드컵 이후[]

1994년 대회까지 번번이 지역 예선에서 좌절을 맛보다가 1998년 FIFA 월드컵에서야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이후 이 대회를 시작으로 6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여 이 중 절반인 3번의 대회(2002년, 2010년, 2018년)에서 16강에 올랐는데 여기서 재밌는 사실은 일본이 월드컵 본선에서 8년 간격으로 16강에 올랐다는 것이다.

AFC 아시안컵[]

아시안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이 중 무려 4번의 대회(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1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아시안컵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또한 첫 출전하여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던 1988년 대회를 제외하고 이후 8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아시아 축구 최강팀다운 면모를 보이고 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컨페드컵에는 5번 출전하면서 아시아 국가 중 최다 출전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1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아시안 게임[]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13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하여 동메달 2개(1951년, 1966년)를 획득했고 1970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4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64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세계 대회 첫 성과를 거두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을 비롯해 12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92년, 1995년, 1998년, 2013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그러나 4번의 우승 중 3번은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에서 거둔 우승이며 동아시안컵으로 명칭이 바뀐 이후에는 우승 기록이 단 1번 밖에 없고 준우승만 무려 5번을 차지하며 이 대회 최다 준우승국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코파 아메리카[]

코파 아메리카에는 초청팀 자격으로 2번 출전했고 2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리고 2011년 대회에서 초청을 받았지만 같은 해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발생하면서 기권을 선언했고 2015년 대회에서도 초청을 받았으나 마찬가지로 기권을 선언했다.

유니폼 변천사[]

틀:위키공용-줄

최근 경기 결과와 일정[]

날짜 상대팀 결과 점수* 장소 대회"
2019년 9월 5일 틀:나라자료 PAR 틀:나라자료 PAR 2-0 틀:나라자료 JPN 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친선경기
2019년 9월 10일 미얀마 미얀마 2-0 미얀마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9년 10월 10일 몽골 몽골 6-0 일본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9년 10월 15일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3-0 틀:나라자료 TJK 두샨베 중앙 공화당 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9년 11월 14일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2-0 틀:나라자료 KGZ 비슈켁 비슈켁 스파르탁 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9년 11월 19일 틀:나라자료 VEN 틀:나라자료 VEN 1-4 틀:나라자료 JPN 스이타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친선경기
2019년 12월 10일 틀:나라자료 CHN 틀:나라자료 CHN 2-1 대한민국 부산 구덕운동장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결선리그
2019년 12월 14일 틀:나라자료 HKG 틀:나라자료 HKG 5-0 대한민국 부산 구덕운동장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결선리그
2019년 12월 18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0-1 대한민국 부산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결선리그
2020년 10월 9일 틀:나라자료 CMR 틀:나라자료 CMR 0-0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할헨바르트 경기장 친선경기
2020년 10월 13일 틀:나라자료 CIV 틀:나라자료 CIV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할헨바르트 경기장 친선경기
2021년 미얀마 미얀마 일본 히라츠카 쇼난 BMW 스타디움 히라츠카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몽골 몽골 몽골 울란바토르 몽골축구협회 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일본 센다이 유르텍 스타디움 센다이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1년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일본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일본의 점수를 앞에 표시

      승리       무승부       패배

선수[]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19년 코파아메리카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1 GK 가와시마 에이지 1983년 3월 20일(1983-03-20) (41세) 72 0 프랑스 RC 스트라스부르
21 GK 니시카와 슈사쿠 1986년 6월 18일(1986-06-18) (38세) 31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3 GK 히가시구치 마사아키 1986년 5월 12일(1986-05-12) (38세) 2 0 일본 감바 오사카
2 DF 나가토모 유토 (부주장) 1986년 9월 12일(1986-09-12) (38세) 91 3 터키 갈라타사라이
3 DF 요시다 마야 1988년 8월 24일(1988-08-24) (36세) 71 9 이탈리아 삼프도리아
4 DF 모리시게 마사토 1987년 5월 21일(1987-05-21) (37세) 39 2 일본 FC 도쿄
17 DF 사카이 고토쿠 1991년 3월 14일(1991-03-14) (33세) 33 0 일본 비셀 고베
18 DF 사카이 히로키 1990년 4월 12일(1990-04-12) (34세) 32 0 프랑스 마르세유
19 DF 마키노 도모아키 1987년 5월 11일(1987-05-11) (37세) 24 2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2 DF 마루야마 유이치 1989년 6월 16일(1989-06-16) (35세) 2 0 일본 FC 도쿄
24 DF 우에다 나오미치 1994년 10월 24일(1994-10-24) (29세) 0 0 벨기에 세르클러 브뤼허 KSV
5 MF 하세베 마코토 (주장) 1984년 1월 18일(1984-01-18) (40세) 104 2 독일 프랑크푸르트
6 MF 가가와 신지 1989년 3월 17일(1989-03-17) (35세) 84 27 터키 베식타쉬
7 MF 기요타케 히로시 1989년 11월 22일(1989-11-22) (34세) 43 5 일본 세레소 오사카
9 MF 야마구치 호타루 1990년 10월 6일(1990-10-06) (34세) 30 2 일본 세레소 오사카
12 MF 코바야시 유키 1992년 4월 24일(1992-04-24) (32세) 2 1 네덜란드 헤이렌베인
13 MF 가시와기 요스케 1987년 12월 15일(1987-12-15) (36세) 10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6 MF 이데구치 요스케 1996년 8월 23일(1996-08-23) (28세) 0 0 일본 감바 오사카
26 MF 나가키 료타 1988년 6월 4일(1988-06-04) (36세) 1 0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10 FW 오카자키 신지 1986년 4월 16일(1986-04-16) (38세) 106 49 스페인 SD 우에스카
8 FW 혼다 케이스케 1986년 6월 13일(1986-06-13) (38세) 86 35 호주 멜버른 빅토리
11 FW 하라구치 겐키 1991년 5월 9일(1991-05-09) (33세) 20 6 독일 하노버 96
20 FW 오사코 유야 1990년 5월 18일(1990-05-18) (34세) 17 5 독일 베르더 브레멘
14 FW 아사노 다쿠마 1994년 11월 10일(1994-11-10) (29세) 10 2 독일 하노버 96
15 FW 사이토 마나부 1990년 4월 4일(1990-04-04) (34세) 6 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5 FW 쿠보 유야 1993년 12월 24일(1993-12-24) (30세) 2 0 벨기에 헨트

최근 차출된 선수[]

아래 명단은 최근 1년 사이에 차출된 일본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시작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 ! colspan="7" style="background:#B0D3FB" | |-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 ! colspan="7" style="background:#B0D3FB" | |-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 ! colspan="7" style="background:#B0D3FB" | |-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틀:국가대표팀 선수명단 (최근) |} |}

선수 기록[]

역대 감독[]

이름 활동 기간
한스 오프트 1992–1993
파우캉 1994
가모 슈 1994–1997
오카다 다케시 1997–1998
필리프 트루시에 1998–2002
코임브라 지코 2002–2006
이비차 오심 2006–2007
오카다 다케시 2007–2010
알베르토 차케로니 2010-2014
하비에르 아기레 2014-2015
바히드 할릴호지치 2015-2018
니시노 아키라 2018
모리야스 하지메 2018-

국제대회 기록[]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불참 불참
틀:나라자료 이탈리아 왕국 1934년
프랑스 1938년 기권 기권
브라질 1950년 출전 금지 출전 금지
스위스 1954년 예선 탈락 2 0 1 1 3 7 1
스웨덴 1958년 불참 불참
칠레 1962년 예선 탈락 2 0 0 2 1 4 0
잉글랜드 1966년 불참 불참
멕시코 1970년 예선 탈락 4 0 2 2 4 8 2
서독 1974년 4 1 0 3 5 4 3
아르헨티나 1978년 4 0 1 3 0 5 1
스페인 1982년 4 2 0 2 4 2 6
멕시코 1986년 8 5 1 2 15 5 16
이탈리아 1990년 6 2 3 1 7 3 9
미국 1994년 13 9 3 1 35 6 30
프랑스 1998년 조별리그 31위 3 0 0 3 1 4 0 15 9 5 1 51 12 32
대한민국일본 2002년 16강 9위 4 2 1 1 5 3 7 자동참가(개최국)
독일 2006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2 7 1 12 11 0 1 25 5 33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16강 9위 4 2 1 1 4 2 7 14 8 4 2 23 9 28
브라질 2014년 조별리그 29위 3 0 1 2 2 6 1 14 8 3 3 30 8 27
러시아 2018년 16강 15위 4 1 1 2 6 7 4 18 13 3 2 44 7 42
카타르 2022년 미정 4 4 0 0 13 0 12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미정
합계 6회 진출(6/21) 16강(3회) 21 5 5 11 20 29 20 124 72 26 26 260 85 242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5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3위 (아시아 5위)
  • 자세한 사항은 일본의 FIFA 월드컵 성적 문서 참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FIFA 컨페드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1992년 불참
사우디아라비아 1995년 조별리그 6위 2 0 0 2 1 8 0
사우디아라비아 1997년 진출 실패
멕시코 1999년
대한민국일본 2001년 준우승 2위 5 3 1 1 6 1 10
프랑스 2003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4 3 3
독일 2005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4 4 4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9년 진출 실패
브라질 2013년 조별리그 7위 3 0 0 3 4 9 0
러시아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5회 진출(5/10) 준우승(1회) 16 5 2 9 19 25 17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9위페지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 1900년 불참
미국 1904년
틀:나라자료 영국 1908년
스웨덴 1912년
벨기에 1920년
프랑스 1924년
네덜란드 1928년
틀:나라자료 나치 독일 1936년 8강 8위 2 1 0 1 3 10 3
틀:나라자료 영국 1948년 출전 금지
핀란드 1952년 불참
틀:나라자료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1라운드 10위 1 0 0 1 0 2 0
이탈리아 1960년 진출 실패
일본 1964년 8강 8위 3 1 0 2 5 9 3
멕시코 1968년 동메달 3위 6 3 2 1 9 8 11
서독 1972년 진출 실패
캐나다 1976년
소련 1980년 불참[1]
미국 1984년 진출 실패
대한민국 1988년
합계 4회 진출(4/17) 동메달(1회) 12 5 2 5 17 29 17

지역대회 기록[]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홍콩 1956년 기권 기권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파일:{{{국기그림-1964}}}|22x20px|border |이란|링크=이란]] 1968년 예선 탈락 4 3 1 0 8 4 10
태국 1972년 기권 기권
[[파일:{{{국기그림-1964}}}|22x20px|border |이란|링크=이란]] 1976년 예선 탈락 5 2 1 2 4 4 7
쿠웨이트 1980년 기권 기권
싱가포르 1984년
카타르 1988년 조별리그 10위 4 0 1 3 0 6 1 4 2 1 1 6 3 7
일본 1992년 우승 1위 5 3 2 0 6 3 11 자동참가(개최국)
아랍에미리트 1996년 8강 5위 4 3 0 1 7 3 9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레바논 2000년 우승 1위 6 5 1 0 21 6 16 3 3 0 0 15 0 9
중국 2004년 우승 1위 6 4 2 0 13 6 14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틀:나라자료 타이베트남 2007년 4강 4위 6 2 3 1 11 7 9 6 5 0 1 15 2 15
카타르 2011년 우승 1위 6 4 2 0 14 6 14 6 5 0 1 17 4 15
틀:나라자료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8강 5위 4 3 1 0 8 1 10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아랍에미리트 2019년 준우승 2위 7 6 0 1 12 6 18 8 7 1 0 27 0 22
중국 2023년 미정 4 4 0 0 13 0 12
합계 9회 진출(9/17) 우승(4회) 48 30 12 6 92 44 102 40 31 4 5 105 17 97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3위
  • 자세한 사항은 일본의 AFC 아시안컵 성적 문서 참조.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남미 대회이지만 일본은 특별 초청팀으로 1993년 이후 일부 대회에 참가했다.

코파 아메리카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파라과이 1999년[2] 예선탈락 10위 3 0 1 2 3 8 1
콜롬비아 2001년 불참
페루 2004년
베네수엘라 2007년
아르헨티나 2011년 기권[3]
칠레 2015년
브라질 2019년 예선탈락 9위 3 0 2 1 3 7 2
합계 2회(초청) 예선탈락(2회) 6 0 3 3 6 15 3
순위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순위 : 16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인도 1951년 동메달 3위 3 1 1 1 4 3 4
필리핀 1954년 조별리그 10위 2 0 0 2 5 8 0
일본 1958년 조별리그 12위 2 0 0 2 0 3 0
인도네시아 1962년 조별리그 6위 3 1 0 2 3 4 3
태국 1966년 동메달 3위 7 6 0 1 18 5 18
태국 1970년 4강 4위 7 5 0 2 8 5 15
[[파일:{{{국기그림-1964}}}|22x20px|border |이란|링크=이란]] 1974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5 4 4
태국 1978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5 5 3
인도 1982년 8강 5위 4 3 0 1 6 3 9
대한민국 1986년 조별리그 9위 4 2 0 2 9 4 6
틀:나라자료 중화인민공화국 1990년 8강 8위 3 1 0 2 3 3 3
일본 1994년 8강 7위 4 1 2 1 9 5 5
태국 1998년 16강 9위 5 3 0 2 8 4 9
합계 13회 출전(13/13) 동메달(2회) 50 25 4 21 83 56 79

EAFF 동아시안컵[]

EAFF 동아시안컵 기록
년도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다이너스티컵 기록
틀:나라자료 중화인민공화국 1990년 4위 3 0 0 3 0 4 0
틀:나라자료 중화인민공화국 1992년 우승 4 2 2 0 8 3 8
홍콩 1995년 우승 4 2 2 0 8 4 8
일본 1998년 우승 3 2 0 1 7 4 6
동아시안컵 기록
일본 2003년 준우승 3 2 1 0 3 0 7
대한민국 2005년 준우승 3 1 1 1 3 3 4
틀:나라자료 중화인민공화국 2008년 준우승 3 1 2 0 3 2 5
일본 2010년 3위 3 1 1 1 4 3 4
대한민국 2013년 우승 3 2 1 0 8 6 7
틀:나라자료 중화인민공화국 2015년 4위 3 0 2 1 3 4 2
E-1 풋볼 챔피언십 기록
일본 2017년 준우승 3 2 0 1 4 5 6
일본 2019년 준우승 3 2 0 1 7 2 6
합계 우승(4회) 38 17 12 9 58 40 63
  1.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서방 세계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다. 일본 역시 이에 동참하였기 때문에 예선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2. 1993년 초청카드 2장이 생긴 이래 처음으로 초대장을 받았다. 아메리카 대륙이 아닌 타대륙의 유일한 참가국으로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3. 2011년에는 초청을 받았지만 대회를 몇 달 앞두고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기권했으며, 이 대회에 나오지 못하면서 2015년 초대장을 받았으나 역시 기권을 선언했다.